공교롭게도 임신성 당뇨가 확진이 되어 버렸으므로,,
요즘 혈당을 매일매일 측정하여 관리하고 있다.
자가혈당 측정법
임신성 당뇨의 목표 혈당은 공복에서 95mg/dL 이하, 식후 1시간 후 140 mg/dL 이하, 식후 2시간 후 120 mg/dL 이하라고 한다. 일반적인 당뇨병 권고수치보다 좀더 빡센 편이다.

–> 대한당뇨병학회 자료
자가혈당 측정법에 대해선 강북삼성병원 및 대한당뇨병학회의 아래 링크를 참고했다:
강북삼성병원: https://main.kbsmc.co.kr/dmbest/contents.do?idx=20049
대한당뇨병학회: https://www.diabetes.or.kr/general/info/treat/treat_03.php?con=2
자가혈당검사
혈당측정기는 케어센스 N 보이스 제품 사용 중이다.
케어센스 N 보이스는 혈당측정기 중 가장 저렴한 제품인지, 소모품인 혈당측정검사지 몇 통을 사면 보이스 하나를 공짜로 주는 약국도 있을 정도다. 덕분에 똑같은 케어센스 N 보이스를 하나 더 받아서 하나는 회사에, 하나는 집에 두고 사용 중이다.
당뇨에 확진되면 소모품 비용이 조금 지원이 되는데, 그 비용으로는 내 혈당측정검사지 사용량이 충당이 안 됨 ㅜㅜ 그래서 그냥 사비로 검사지를 더 샀다.

–> 케어센스 N 보이스


–> 채혈 후 혈당 측정 과정

–> 친구들이랑 밥 먹고.. 한번씩 재 봄 ㅋㅋ
채혈
채혈은,
- 채혈기에 1회용 란셋(채혈침)을 끼워서 손에 구멍과 피를 낸 후,
- 혈당측정기에 혈당측정검사지(소모품)을 끼운 후
- 혈당측정검사지 끝에 피를 묻히면 측정기에서 혈당이 측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.
지금은 수월하게 하고 있지만, 처음 채혈은 매우 어렵다. 우선 무섭고, 아프고, 생각보다 피가 잘 안 나온다.
여튼,,
채혈기에는 1~5단계 표시가 있는데, 해당 단계는 채혈침이 손가락을 찌르는 깊이를 나타낸다.
처음에는 스킬이 없어서 4단계로 해서 채혈하다가 점점 스킬이 생겨서 3.5 –> 3단계로 해서 채혈 중이다. 오빠는 피부가 두꺼워서인지 4단계로 해야 함.
제일 빡치는 상황은 기껏 손에 구멍 뚫었는데 피가 충분히 안 나서 다시 구멍 뚫어야 하는 때. 그럼 검사지도 낭비하고 손가락 구멍도 하나 낭비하는 셈이다. 짜증나는 에러 4..
나름 경험자의 채혈 팁을 쓰자면:
- 채혈 전 손 씻고 말리기
–> 손에 음식물이나 물기가 남아 있으면 오차가 생긴다고 한다) - 손가락 끝에 혈류가 모이면 (빨개지면) 피가 잘 나온다.. 아래는 그렇게 만드는 팁
–> 손을 심장 아래로 10초 이상 두기
–> 채혈 전 손바닥 마사지하고 주먹 쥐었다폈다 하기
–> 손 가볍게 털어주기 - 채혈기를 손 끝에 제대로 밀착시킨 후 찌르기
–> 이게 중요하다. 몰캉한 피부가 쫙 펴지도록 꽉 밀착시켜야 한다. - 채혈침은 30g 짜리로 구매
–> 시중에 파는 채혈침은 28g, 30g 규격이 대부분인는데 30g가 더 얇다고 한다. 아픈 게 싫어서 28g 짜리로..
이건 내 손가락 모습..


–> 처음에는 이렇게 점 같은 채혈자국이 많이 생기다가,

–> 나중에는 이렇게 손끝 피부가 비늘처럼 변하고 건조해진다.



–> 가끔 잘못 찌르면 이렇게 멍이 든다. 그러면 엄청 아픔 ㅜㅜ
참고로 이건 내가 인터넷에서 찾아본 채혈 관련 팁..:
▷실제보다 수치 높이는 행위=바늘로 손가락을 찌른 뒤 강한 힘으로 쥐어짜면 혈당이 높게 나온다. 서울의료원 내분비대사내과 범선희 과장은 “통증이 무서워 살짝 찌르고 세게 쥐어짜는 사람이 많다”며 “그러면 실제 혈당보다 100㎎/㎗까지 높아진다”고 말했다. 손을 세게 쥐어짜면 혈액뿐 아니라 세포와 세포 사이를 채우는 체액인 ‘세포간질액’ 속 포도당이 섞여 나오기 때문이다. 심한 설사나 구토 후에도 혈당이 높게 측정되기도 한다. 탈수로 인해 체액이 부족해지면서 혈액이 농축되는 탓이다. 바나나, 사탕 등 단 음식을 손으로 만진 후 혈당을 바로 재도 묻어 있던 당 때문에 실제보다 높게 측정될 수 있다. ▷실제보다 수치 낮추는 행위=손을 쥐어짜 하얗게 만든 뒤 바늘로 찌르면 해당 부위 혈액량이 부족해지면서 혈당이 실제보다 낮게 나온다. 혈당을 잴 때는 혈액에 적혈구 등 구성 성분이 정상적인 비율로 존재해야 하는데, 혈액량이 풍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취한 혈액은 이 구성 비율이 달라지면서 혈당이 실제보다 적게 들어 있다. 같은 이유로 추위로 몸이 얼었을 때 혈당을 측정하면 실제보다 낮게 나온다. 몸이 추울 때는 혈관이 수축해 손끝까지 혈액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다. |
기록
혈당과 식단은 닥터다이어리라는 어플을 통해 기록 중이다. 이 어플이 음식 사진을 등록하면 AI로 품목도 인식해서 입력해 주고 촬영시간도 자동으로 입력해 줘서 매우 편리하다.


–> 닥터다이어리 어플
병원에서는 아침 식전, 아침 식후2시간, 저녁 식전, 저녁 식후2시간 재도 된다고 했었다.
그런데 인터넷을 보니 식후 1, 2시간 모두 체크하라는 얘기가 있기도 하고,
식후 1시간 혈당은 해당 음식이 내 몸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고 식후 2시간 혈당 그 음식으로 인해 오른 혈당을 몸이 처리하는걸 반영한다고 해서, 일단 지금은 공복, 식후 1, 식후 2 이렇게 전부 측정 중이다.
초보이다 보니 어떤 음식이 내 혈당을 올리는지를 제대로 알아야 나중에도 관리하기 쉬울 것 같기 때문에..
계속..